devPharm
devPharm
devPharm
  • 분류 전체보기 (17)
    • coding (12)
    • medicine (5)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devPharm

devPharm

경구피임제 세대별 분류 및 선택법
medicine

경구피임제 세대별 분류 및 선택법

2022. 6. 10. 10:54

경구피임제 작용기전

에스트로겐이 극대화 되었다가 떨어지고,

프로게스테론이 올라가는 시점에 

LH surge가 나타나면서 배란 일어남.

 

 

경구피임약의 주성분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임.

피임약 복용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일정하게 주입되면서

호르몬 패턴이 생기지 않아

LH surge가 억제되 배란이 일어나지 않음  ->

 

 

 

 

경구피임약의 목적

1. 순수 피임

2. 생리일 미룰 때

3. 불규칙한 생리주기를 맞추고자

4. 다낭성난소증후군, 월경과다, 생리전증후군 등 호르몬불균형 증상 완화

5. 여성의 여드름 치료

 

 

피임약 세대별 분류

현재 사용하는 피임약은 2세대부터 4세대까지 존재

분류기준은 프로게스테론 성분에 따라 구분한다.

 

에스트로겐은 ethinylestradiol 성분으로 공통적 

but 용량은 2종류가 있다. 0.02 or 0.03mg 

구토,구역감,혈압 등의 피임약 부작용 있다면, 에스트로겐 함량 낮은 피임약 선택

 

2세대 피임약 : norgestrel, lovonorgestrel (성분명 : 에이리스, 미나보라, 쎄스콘..)

3세대 피임약 : gestodene or desogestrel (멜리안, 센스리베, 마이보라, 머시론...)

4세대 피임약 : drospirenone, cyproterone => 전문의약품, 처방받아야 (야즈, 야스민 ...)

 

세대가 높을 수록 여드름, 다모 같은 부작용이 감소. (2세대 프로게스테론은 남성호르몬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4세대는 아예 남성호르몬작용 감소 뿐 아니라 차단시켜 주기 때문에 여드름, 다모 치료제로도 사용한다.

프로게스테론이 적어서 배란이 잘 되지 않는 경우(다낭성난소증후군) 4세대 피임약이 치료제로 사용 될 수 있다.

but 4세대는 혈전생성 위험성 증가한다.

득과 실이 동시에 있다. 각자 맞는약을 선택해야 한다.

 

 

 

3세대 피임약이 가장 무난하다고 할 수 있다.

단, 3세대 피임약 중 머시론은 에스트로겐성분은 없고 프로게스테론 성분만 있다.

이럴경우 혈전위험도가 더 높음.

혈전위험도가 높은 사람은 머시론은 피하는게 좋다.

 

35세 이상 흡연자인 경우 피임약은 혈전의 위험때문에 금기 !!

 

 

 

피임약 선택법 정리

정리하자면,

1.의 경우

여드름성 부작용이 있고, 다모가 있거나 생리전증후군이 있거나, 부종도 잘 생긴다면

연령 낮아서 심혈관계 위험도도 별로 없어=> 4세대 피임약

( 위에서 말 안했는데, 4세대 프로게스테론 구조는 스피로락톤구조와 유사해서 이뇨작용 있음. 부종에 효과 )

 

2.의 경우

가장 무난하게 처방도 안받고 약국에서 구입하고 싶다면

단지 생리주기를 맞추거나, 생리일을 늦추고 싶다면=> 3세대 피임약

 

3.의 경우

심혈관계 위험도가 높은 사람, 나이가 있는 사람은  => 2세대 피임약(에이리스, 미니보라)

2세대 피임약 먹고싶은데 여드름,다모가 있다면 프로게스테론 함량이 적은걸로 선택!(에이리스)

 

 

 

 

에스트로겐 과잉 시 부작용 : 유방통, 편두통, 부종, 메스꺼움,구역,구토 등

=> 위의 부작용을 겪는다면 에스트로겐 용량 적은 걸로 선택

 

프로게스테론 과잉 시 부작용 : 여드름, 체모증가, 체중증가, 부종 등 

=> 위의 부작용을 겪는다면 세대가 높은 피임약 선택

 

 

 

 

피임약 먹던 중 부정출혈이 발생한다면?

원인

1. 불규칙한 복용

2. 에스트로겐 용량이 적어서

3.프로게스테론 효과가 적어서

4.다른약과 상호작용으로 약효능 떨어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3개월 정도까지 약간 생길 수 있지만, 

출혈이 조금 많다고 생각이 든다면

 

생리주기별로 언제 부정출혈이 생기는지에 따라 피임약 변경 하면 된다.

생리주기 초기에 부정출혈 => 에스트로겐 함량을 높은 걸로 변경(미니보라.마이보라..)

생리주기 후반에 부정출혈 => 3세대 게스토덴 성분으로 변경(마이보라,미뉴렛..)

 

생리량 감소 or 생리를 안한다? => 에스트로겐 용량이 높은 걸로 변경

(에스트로겐이 자궁내막을 두껍게 한다)

 

'medic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비약 분류 및 부작용  (0) 2022.07.29
전립선비대증(BPH) 및 요실금 약물  (0) 2022.07.26
화상 시 집에서 응급 대처법 및 상처관리법  (2) 2022.07.07
천식, COPD에 쓰이는 흡입기 종류  (0) 2022.05.26
    'medic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변비약 분류 및 부작용
    • 전립선비대증(BPH) 및 요실금 약물
    • 화상 시 집에서 응급 대처법 및 상처관리법
    • 천식, COPD에 쓰이는 흡입기 종류
    devPharm
    devPharm

    티스토리툴바